|
기도명 |
기도(축원)기간 |
동참금액 |
정초철야기도(응진전) |
음력 1월3일~1월9일(7일) |
10만원 설판: 100만원 (가족 또는 영가2위) |
정초철야기도(지장전) |
음력 1월9일~1월15일(7일) |
생축: 10만원 영가: 1만원(1위) 설판: 100만원 (가족 또는 영가2위) |
삼월불사 |
음력 3월 26일~27일(2일) |
설판: 100만원 (가족 또는 영가2위) 보살계: 4만원(1인) 영가천도: 1만원(1위) 가족생축: 5만원 |
봉축기도 |
음력 4월1일~8일(8일) |
5만원 |
하안거기도 |
음력 4월15일~7월15일(90일) |
10만원 |
칠석기도 |
음력 7월7일(1일) |
3만원 |
백중기도 |
음력 7월9일~7월15일(만7일) |
설판: 100만원 (가족 또는 영가2위) 가족생축: 5만원 영가천도: 1만원(1위) |
수능백일기도 |
매해 수능 100일 전(100일) |
10만원 |
금강산림법회 |
음력 8월29일~10월18일(49일) |
설판: 100만원 (가족 또는 영가2위) 가족생축: 10만원 영가천도: 1만원(1위) |
동안거기도 |
음력 10월 15일~익년1월15일(90일) |
10만원 |
동지기도 |
양력 12월 22일(1일) |
생축3만원 |
|
|
산림기도는 최절인아산(催絶人我山)의 산과 장량공덕림(長養功德林)의 림을 합쳐 산림기도라 지은 것으로 이는 금강산림 · 화엄산림 등 경전공부를 열심히 하여 범부를 벗어나 부처의 살림살이로 산다는 뜻입니다.한 해가 시작되는 정초에 부처님의 대자비와 지혜 광명이 온 누리에 두루하기를 기원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바르게 살겠다는 다짐을 하며 불자님들의 가정에 평화와 행복이 깃들고 재앙이 소멸되어 기도하는 모든 이들의 소원이 성취되기를 기도하는 자리입니다. |
|
한국불교의 기틀을 세우고 송광사를 중흥하신 보조국사 지눌스님의 법덕을 기리고 그 정신의 계승을 다짐하는 종재와 종단의 전계대화상을 지내신 방장스님을 비롯한 삼사칠증 스님들의 계호 아래 많은 불제자들에게 계를 수지하고 정계를 지키는 서약을 하는 보살계 수계산림을 매년 음력 3월 26일부터 27일 양일간 여법하게 진행합니다. |
|
부처님 오신 날을 앞두고 연등을 밝히는 것은 어두운 세상에서 밝은 세상으로 향하는 지혜를 뜻합니다. 부처님 전에 정성이 담긴 등(燈)을 밝혀 횡액과 우환, 질병에서 벗어나 무병장수를 구하고, 집안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시어 밝은 지혜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
전각명 |
동참금액 |
응진전 |
대등(30만원), 소등(20만원) |
산신각 |
소등(10만원) |
승보전 |
대등(20만원), 소등(10만원) |
지장전 |
대등(20만원), 소등(10만원), 영가등(대등 20만원, 소등 10만원) |
대웅보전 |
마당등(대등 100만원, 소등 5만원) |
|
|
안거 기도는 출가한 스님들이 한곳에 모여 외출을 금하고 수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인도에서는 우중에 수행자들이 돌아다니며 수행을 하다 폭우를 만나 피해를 입거나 초목과 벌레들을 살상하는 사태가 많았으므로, 이 시기에는 아예 외출을 금하고 수행에만 몰두하던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추운 북쪽으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겨울에 수행하던 스님들이 추위로 목숨을 잃는 일이 일어나게 되어 중국, 우리나라 등의 북쪽에서는 여름철 외에 겨울철에도 안거 기도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출가 수행자 뿐만 아니라 재가불자들도 생활 속에서 수행하는 자세를 갖추고 자리이타의 정신을 실천한다는 의미에서 동참하는 것입니다. 안거말 지장기도는 사분정근으로 봉행됩니다. |
|
불교의 가르침 가운데 애별리고(愛別離苦)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랑하는 것과 이별하는 고통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별은 아픔을 동반하고 오며, 이별하지 않고 살아갈 수만 있어도 인생은 행복할 것입니다. 칠석은 일 년에 한 번 만남을 성사시키는 날로서 그 의미를 가집니다. 사찰의 행사가 오작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더욱 뜻 깊은 행사가 될 것입니다. |
|
음력 7월 보름은 우란분절(백중)입니다. 목련존자가 지옥에 빠져 고통 받는 어머니를 위해 덕이 수승한 스님들께 공양 올려 그 법력으로 해탈의 문으로 들어가게 하신 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우란분절은 미혹에 사로잡혀 거꾸로 매달린 듯 고통 받으며 악도를 헤매는 수많은 중생들을 해탈시키는 날로 불교의 5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송광사에서는 대중스님들의 수행력으로 선망부모와 조상천도를 발원하며 만 7일간 지장전 용맹기도를 드립니다. |
|
수능을 비롯한 각종 시험 등 관운이 대통하기를 기원하는 기도가 영험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 관음전에서 매년 8월 수학능력고사 100일을 앞두고 ‘학업원만성취 백일 관음기도’를 봉행합니다. 백일간의 관음기도를 통하여 시험으로부터 찾아오는 중압감을 물리치고, 마장을 극복하여 평상시의 평안한 마음을 가지게 해줄 뿐만 아니라 평소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도합니다. |
|
‘금강산림대법회’는 49일 동안 매일 영가천도 기도를 봉행하며 일주일에 한 번씩 고승대덕 큰스님들의 초청법문이 펼쳐집니다. 대법회에 동참한 인연공덕으로 우리 재가불자들은 큰스님들의 가르침을 통하여 깨달음의 향훈이 함께하는 시간이자, 영가들에게는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뜻 깊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
|
12월 22일은 절기로 동지입니다. 동지는 새로운 시작과 밝은 기운을 맞이하는 날로, 동지 이후로 점차 낮이 길어져 생명의 회복과 재생을 상징합니다. 이 날은 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으며 액울을 물리치고 새해 복을 빌며, 선조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기도를 올리며 가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합니다. |
|